
저자. 조해나 드러커 지음
옮긴이. 최슬기
출판사. 작업실유령
![]()
그리고, 이제 글쓰기는 전과 다르게, 즉 배열이 아니라
관계 체계에서 작용하는 운동과 힘으로 이해될 것이다
![]()
책 뒷면에…
옮긴이의 말이 이렇게 있습니다.
“다이어그램처럼 글쓰기” 는 형식이 어떻게 의미를 생산하는지 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처럼 책이라는 매체를 의미 생성 관계가 펼쳐지는 공간으로 규명하고 구체적으로 연구한 작품은 드물다. 이 책에서 글과 그 시각적 표현은 완전히 통합되어 상호 의존적으로 서로를 반영한다. 저술가, 서지학자, 디자이너, 개념 미술가는 물론 그래픽 형태를 띠는 다이어그램을 사유케 하는 메타언어에 관심있는 이라면 누구에게나 유익한 책이다.
![]()
스토리디는 19년 연말, Visual Vocabulary 를 연구 중에 있습니다.
작성 컨텐츠에 걸맞게, 의도에 부합하게! 주장하거나, 설득하거나, 이해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 방법을 찾고 있는 중입니다. 그 와중에 발견한 책입니다. ‘슬기와 민’으로 활동 중인 최슬기님이 옮기 책이라는 점에서 기본적인 신뢰를 갖습니다.
이 책에 대한 설명을 옮긴이의 말보다 더 잘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조금 설명해보자면 31페이지 얇은 책 안에서 ‘머리글과 본문의 관계’, ‘공간을 사용하는 글쓰기’, ‘여백의 역할’, ‘주석을 바라보는 새로운 점’ 등을 알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책을 전개하는 방식이 놀라운데요. 한번씩,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 본 포스팅과 관련된 다른 글을 더 보려면 아래의 컨설턴트의 책을 클릭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