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중을 하나로 결집시킨 마틴 루터 킹 목사 연설의 힘

원제: #10. The Twentieth Century’s Greatest Speech-What Made It So Powerful?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I have a dream)’ 제목의 마틴 루터 킹 목사 연설은 21세기 가장 위대한 연설로 뽑힐 정도로 그 힘은 매우 대단하다. 50만명의 거대한 군중은 물론, 그들 사이에 숨어 있던 FBI정보원조차 그의 카리스마와 진실함에 감동했다고 하니 말이다.

Guide to Persuasive Presentation마지막 Article 에서는 현 비즈니스의 발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군중을 하나로 뭉치게 했던 마틴 루터 킹 목사 연설의 성공 요소를 소개한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원문과 함께 킹 목사의 “I have a dream” 연설문을 참고하길 바란다.
출처: Harvard Management Communication Letter, #C9903D

 

 

 

 

대화조로 연설하기

킹 목사 연설의 절정은 미리 준비한 연설문을 내려놓고 청중을 응시한 채 마음에서 우러난 연설을 시작한 중반부터 였다고 한다. 이 결정은 목사가 원하는 만큼 청중이 따라오지 못함을 감지한 후였다. 이 결정이후 청중은 킹 목사의 연설 내용에 곧 반응하기 시작했다. 그의 주장에 동조한다는 의미로 킹 목사의 말을 반복하며 함성을 질렀다.

“마침내 자유를! 마침내 자유를! 전지전능한 하나님이시여, 마침내 우리가 자유를 얻었습니다!”
 

반복 기교 사용하기

킹 목사는 새로운 사상을 이야기한 후 상세 설명하고, 다시 원래의 표현을 반복하고 상세 설명하는 가변적 구조를 연설문에 사용했다. 이러한 반복적 구조는 발표자와 청중들에게 현재 그들이 발표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게 해 준다. 즉 발표자는 주제 하나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다룰 때까지 동일한 표현을 쓸 수 있고, 청중들은 혼란 없이 다음 주제로 넘어갈 수 있었다.   

“저는 오늘 저의 벗인 여러분께 이 순간의 고난과 좌절에도 불구하고 저에게는 여전히 꿈이 있다는 사실을 말씀드립니다. 그 꿈은 미국의 건국이념에 깊이 뿌리 박힌 꿈입니다.

저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언젠가 이 나라가 떨쳐 일어나 진정한 의미의 국가 이념을 실천하리라는 꿈, 즉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진리를 우리 모두가 자명한 진실로 받아들이는 날이 오리라는 꿈입니다.

저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조지아의 붉은 언덕 위에서 과거에 노예로 살았던 부모의 후손과 그 노예의 주인이 낳은 후손이 식탁에 함께 둘러앉아 형제애를 나누는 날이 언젠가 오리라는 꿈입니다.

저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삭막한 사막으로 뒤덮인 채 불의와 억압의 열기에 신음하던 미시시피 주조차도 자유와 정의가 실현되는 오아시스로 탈바꿈되리라는 꿈입니다.”

 

또한 킹 목사는 발표보다 글에서 좀 더 설득력 있는 은유(a promissory note, 약속어음)법을 적용한 가변적 구조(반복)를 도입부에서 보여주었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보증 수표를 현금으로 바꾸기 위해 우리나라의 수도에 모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건국자들이 헌법과 독립 선언서의 조항을 기초했었던 당시에, 그분들은 모든 미국인들이 상속받도록 되어 있는 약속 어음에 서명했습니다. 모든 인간에게는 생명과 자유와 행복 추구에 대한 빼앗길 수 없는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약속이 그 약속 어음에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미국인 모두에게 잘 알려진 친숙한 언어 사용하기

킹 목사는 연설의 열기가 띠었을 때 청중들에게 잘 알려진 성경 구절과 국가를 인용했다. 그러고는 인용한 것을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하고, 인종 평등과 화합을 강조하는 연설의 주제와 연관 지었다. 청중들에게 익숙한 지식과 발표 주제가 연결되었을 때, 청중은 주제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서 발표자의 연설을 잘 따라갈 수 있다.

“바로 그 날은 하나님의 모든 자손이 다음과 같은 노랫말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날이 될 것입니다.
당신은 나의 조국, 자유가 넘치는 향기로운 땅, 나 그대를 위해 노래하리. 나의 조상이 묻힌 땅, 순례자가 칭송하는 땅이여, 모든 산허리에 자유가 울려 퍼지게 하리!”
또한 미국이 위대한 국가가 되려면, 이것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합니다.”

 
청중에게 자신의 입장과 견해를 명확하게 밝히기

비즈니스 발표에서 가장 자주 놓치는 것이 청중에게 발표자가 주제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말하는 것이다. 당신은 무엇에 관심을 쓰는가? ? 그 주제와 관련하여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청중들은 그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훨씬 많이 알고 싶어한다. 왜냐하면 청중에게 발표에서 기억해야만 하는 핵심이 무엇인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 킹 목사는 청중들에게 그의 감정에 대한 의문을 남기지 않았다. 카리스마는 주제에 대해 적절하게 잘 표현된 열정으로부터 나온다. 그리고목사는 이 부분에서 탁월했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희망입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남부로 돌아갈 때 지녀야 할 신념입니다.
이러한 신념만 있다면, 우리는 절망의 산을 깎아 내어 희망의 돌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신념만 있다면, 우리는 귀에 거슬리는 불협화음에 휩싸여 있는 우리나라를 아름다운 교향곡의 선율처럼 형제애가 넘쳐나는 나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신념만 있다면, 언젠가는 우리가 자유로워지리라고 믿으면서, 우리는 함께 일하고, 함께 기도하고, 함께 투쟁하고, 함께 감옥에 가고, 함께 자유를 위해 싸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으로 ‘Guide to Persuasive Presentation’ 에서 소개한 10개의 Article 포스팅을 마칩니다. 서로 다른 저자가 발표에 대한 주제를 이야기했기 때문에 중복된 내용도 상당히 있었습니다. 그러나 중복된 양만큼 그것이 발표에서 중요한 내용임을 인지하고 우리의 현 비즈니스 프레젠테이션에서도 적용시켜 보시기 바랍니다.

 

 

 

 

> 본 포스팅과 관련된 다른 글을 더 보려면 아래의 프레젠테이션을 클릭해보세요. 

 

By |2019-11-26T16:33:16+09:0011월 25th, 2019|Categories: Delivery, 프레젠테이션|Tags: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