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ging the TED STORY, 말 그대로, 맘에 드는 테드 영상을 골라 파보겠습니다.”

06 What I learned from 100 days of rejection
TEDxMtHood 2015, speaker: Jia Jiang

 

 

오랜만에 맘에 드는 테드 영상을 보게 되서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100일의 거절을 통해 배운 것.”

Jia Jiang 이라는 사람이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모두가 두려워하는 ‘거절’에 관한 것을 풀어놓습니다. 올 하반기 몇 번의 ‘거절’을 경험했던 바가 있어 아무래도 이 영상에 끌렸던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뻔할 것 같지만 아니고, 그렇다고 아주 놀라운 것도 아니지만 그가 내린 결론이 맘에 듭니다. 뭐라고 했길래? 궁금하시죠?

 

Jia Jiang은 여섯 살 때 대중 앞에서 거절당한 경험이 있습니다. 뼈에 사무친 듯, 아주 자세하게 기억하고 있죠. 그리고 8년이 지난 열 네 살 때에는 그의 고향(베이징)에 방문한 빌 게이츠를 보고 기업가의 꿈을 꾸게 됩니다. 그러나 서른이 되었을 때 그는 여전히 아무것도 시작하지 않았고, 침체되어 있다고 느낍니다. 세상을 정복하겠다는 열 넷의 자아와 거절을 두려워하는 여섯 살의 자아가 계속해서 충돌하고 있고, 늘 여섯 살의 자아가 이기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러던 중 드디어 자신의 기업을 시작하죠. 그런데 투자 유치를 받을 기회가 있었는데 거절 당했답니다. 엄청난 상처가 되었죠. 그러나 그만두진 않아요. 거절의 두려움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그 방법을 찾기로 합니다. 

그 방법은 계속되는 거절을 경험해, 거절로 인한 상처에 둔감해지기 입니다. Jia Jiang은 100일을 목표로 도전합니다. 그리고 이를 영상으로 만들어 블로그에 공개합니다.

첫째 날, 낯선 사람에게 100달러 빌리기

둘째 날, 버거 리필을 요청하기

셋째 날, 도넛을 올림픽 심볼 모양으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기…

그는 단순히 거절을 경험하기.라는 목표가 아니라 거절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그 답을 찾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소개합니다.

_ 1) Magic Word “why”

_ 2) “Is that weird?”

_ 3) Asking.

첫째, Why라고 묻기. “거절의 이유는 당신을 신뢰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그가 원하는 바에 Fit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 왜 거절하는가 이유를 물어라. Fit 한 다른 이를 소개받을 수도 있다.” 라고 합니다.

둘째, 이상하지? 라고 묻기. 반드시 이렇게 물을 필요는 없습니다. 이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그의 생각을 내가 말로 꺼내주는 것입니다. 그럼으로써 상대방의 의심을 무장해제 시키며 동시에 신뢰를 얻는 것이지요. Yes를 끌어낼 가능성이 높아지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셋째, 요청하기 입니다. 원하는 바는 요청해야 하죠. 상대방은 요청 받기 전에는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도 못하고, 관심조차 없을테니까요.

 

 

이 영상의 스토리 구조는 세 부분으로 나눠 반복되고 있으며,

주제를 점차 구체화해서 강조하는 일종의 점층법의 구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1) 도입 에피소드 반복
2) 전환-주제 제시
3) 전개 에피소드 반복
4) 전환-주제 구체화
5) 절정 에피소드 반복 + 인용
6) 결말, 행동촉구

 

그의 마무리는 이렇습니다.

거절이 기회가 될 수 있다. 도망가지 마라.

Don’t run.

 

당연히 Yes라는 답변을 들을 것으로 예상했던 일에 No라는 답변은 그 자리를 빨리 회피하고 싶게 합니다. 한없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자존감이 마치 세상 끝난 듯한 기분이 들게도 하죠. 그럼에도 도망가지 않는 것.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라고 묻는 것. 그렇게 변화할 수 있을까요?

Jia Jiang의 결론이 특히 마음에 꽂히는 이유는 그의 스피치가 그의 경험으로 구성되었다는 점, 쉽게 공감이 된다는 점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웃음이 나는 부분이 많은 스피치입니다. 링크된 영상을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본 포스팅과 관련된 다른 글을 더 보려면 아래의 TED 스토리를 클릭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