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회사의 Y팀장 보고, 난관에 부딪치다
연말 조직 개편으로 인해 신임 Y팀장은 A회사의 마케팅팀을 맡게 되었다. Y팀장은 두 주 후에 CEO와 다른 팀장들에게 A회사의 영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타 팀장들 보고와의 경쟁 이유도 있었지만 CEO 보고라는 점 때문에 Y팀장은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게 아니다.
A회사는 IT 대기업으로 이미 포화 상태인 국내 시장 대신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고자 준비 중이었다. 곧 발표를 준비할 T/F팀이 꾸려지고 팀원들은 작업에 착수했다. 몇 차례의 회의를 거쳐 보고할 내용을 정리하고, 정리한 내용은 늘 작업하던 목차에 맞춰 채워졌다.
일주일 후, Y팀장은 T/F팀이 작성한 자료를 리뷰했다. 결과는 ‘뭘 보고하려고 하는지 잘 모르겠다’, ‘내용은 많으나 핵심이 무엇인지 알기 어렵다’, ‘이런 보고라면 20명이 넘는 임원들의 보고 가운데 묻혀 CEO 기억에는 아무 것도 남지 않을 것이다’ 등의 의견이 나왔다. T/F팀은 난관에 부딪쳤다.
익숙한 상황이다. 기껏 준비한 보고나 발표가 ‘하.나.도. 모르겠다’는 평을 듣는 상황 말이다. 사내 보고라면 그럭저럭 넘어갈 수 있지만, 신규 사업을 수주하기 위한 고객 대상 제안 발표라면 심각하다. 따라서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어떻게?
성공적인 발표 자료에는 플롯이 있었다
다시 이야기로 돌아가서, 난관에 부딪힌 T/F팀은 프레젠테이션에 능통한 한 컨설턴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컨설턴트는 자료 검토 후 먼저 발표 전체를 대변하는 핵심 메시지를 도출했고, 그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는 플롯(스토리구조를 의미하지만, 쉽게는 일종의 목차라고 생각하자)을 설계했다. 결국 Y팀장은 한 주 정도의 수정 작업 후 완성된 최종본으로 성공적인 발표를 할 수 있었다.
인용된 사례가 어디 책에서나 나올 법한 꾸며진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이것은 실사례다. 다행이다. 왜냐하면 우리도 그 방법을 따라하면 되니까.
그렇다면, 이제 그 컨설턴트가 했던 작업을 살펴보자. 발표 자료를 보완하는데 있어, 물론 컨설턴트가 기본적으로 가진 역량도 작용했겠지만, 실제 그녀가 주력한 것은 플롯 설계였다고 한다. 사실 그녀가 적용한 플롯은 우리가 잘 아는 ‘오즈의 마법사’ 였다. 그리고 이 플롯은 로널드 B. 토비아스의 저서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 가지 플롯’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응용했다고 한다.

로널드 B. 토비아스는 그의 저서에서 고전 문학부터 현대 문학까지 이야기의 기본 뼈대를 이루는 20가지 플롯 패턴을 제시하였는데,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예술분야에서 플롯은 유행의 영향을 가장 덜 받는 요소라는 점이다. 단지 시대 별 어떤 플롯의 패턴이 자주 사용되었는지 여부만 변할 뿐이라고.
또한 Y팀장의 보고 사례를 통해 이 플롯들은 소설, 영화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제안, 각종 보고 자료의 플롯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해서, 본 시리즈에서는 토비아스가 제시한 플롯들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고, 이 플롯을 적용한 각종 보고 자료 혹은 제안 발표 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글을 통해 다양한 프레젠테이션을 기획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 본 포스팅과 관련된 다른 글을 더 보려면 아래의 플롯을 클릭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