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Vocabulary #확보

“Visual Vocabulary, 하나의 키워드를 하나의 슬라이드로 만드는 스토리디의 레시피입니다.”

# 확보

 

 

 

이런 상황

A. ‘제가 이 일을 꼭 해보겠습니다.’
B. ‘할 수 있어?’
A. ‘. 할 수 있습니다.’
B. ‘어떻게 믿지?’
A. ‘이 일에 꼭 필요한 자원을 확보했습니다.’

AB에게 어떤 일을 하겠다 허락을 구하는 상황에서, B를 설득하기 위해 꺼내든 말 확보했습니다.’
금융 자산 확보, 생산 거점 확보, 인재 확보 등. 오늘은 확보를 키워드로 슬라이드를 만들어볼까 합니다.

 

사전에 따르면,
확보(確保)는 국어사전에 따르면, 확실히 보증하거나 가지고 있음. 입니다.
한자사전에는 두 가지로 나눴군요. 확실히 보유함. 확실히 보증함.

 

확보’를 시각화한다면?
‘확보’를 슬라이드로 제작한다면, 무엇을 확보했는지 그 대상을 나열해주면 되겠죠?

 

 

 

 

1) Digging the KEYWORD, 재료 모으기

확보를 슬라이드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입니다.

확보 대상
갖춤 여부

예를 들어보죠. “금융자산 확보
금융자산은 예금, 현금, 유가증권, 대출금, 보험, 신탁, 기업간의 신용 등의 자산을 가리킵니다.
금융자산 확보를 슬라이드로 만든다면 금융자산에 속하는 항목을 나열하고,
이를 갖췄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이 있겠죠.(하단 그림의 1)
갖추고 있는 금융자산의 보유 정도를 표현할 수도 있겠습니다.(하단 그림의 2)

 

 

 

2) Draw the KEYWORD, 슬라이드로 만들기

슬라이드 만드는 방법은 이미 말해버렸습니다

 
A. 확보하고 있는 대상을 나열하기.
B. 확보하고 있는 수준을 나타내기.
 
갖춤의 의미를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체크박스이미지를 사용하는 것 정도는 쉽게 적용해볼 수 있겠네요.
확보한 대상이 정량적일 경우 그래프를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품질 확보, 신뢰성 확보, 경쟁력 확보, 안정성 확보 등 정성적인 항목은 어떻게 할까요?
품질 확보를 예로 들어보죠.
품질이란 목표 규격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사해 그 평가 결과로 품질이 높다, 낮다 등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품질 확보란 갖춰야 하는 목표 규격과 이를 어느 수준으로 갖추었는지로 표현합니다.

신뢰성 확보도 마찬가지 입니다. 신뢰성 확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목표 수준을 두고
이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제시합니다. 경쟁력, 안정성도 마찬가지 입니다.

 
정성적인 항목이긴 하지만 이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목표 수준이 있고,
이에 대한 판단결과가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3) Digging Again. 

자, 그런데 생각해봅시다.
다음의 두 가지 사례가 있습니다.
100% 확보, 75% 확보.

왼쪽은 느슨한 기준을 사용했고, 오른쪽은 엄격한 기준을 사용했습니다.
때때로 우리는 왼쪽과 같이 느슨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우리가 확보한 수준이 예상외로 높지 않을 때, 경쟁사보다 뒤쳐질 것이라 예상될 때,
기타 여러 이유로 확보에 미치지 못할 때와 같은 경우에요.


확보, 확실히 보유/보증이라고 했으니, 상대방을 설득하려면 100% 확보했다고 하는 것이 확실한 거죠.
은근슬쩍 몇 가지 엄격한 기준은 생략해요. 일부러.
그러 고선 슬라이드에는 100% 확보를 강조하죠. 얼핏 보면 100%라는 숫자만 보이게.
여러분이라면 어떤 표현을 사용하실 것인가요?

 

 

 

 

자 그럼, 정리해보겠습니다.

 

확보

– 정의: 확실히 보유함. 확실히 보증함

– 재료: 01 확보 대상, 02 갖춤 여부

– Visualize의 핵심: 확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목표 수준. 그리고 평가 결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확보를 사용합니다. 확실히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로요.
그런데 너도나도 ‘확보’라 하니까, 때로는 이를 더 강조하기 위해 이미 갖추었다는 의미로 ‘기(旣) 확보’라 하거나,
그것도 안심이 안되는지 ‘기 확보 완료’ 라고도 합니다.
내실은 변하지 않았는데, 말은 자꾸 중언부언, 복잡해지기만 하는 것은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듭니다.

 

 

 

 

> 본 포스팅과 관련된 다른 글을 더 보려면 아래의 Visual Vocabulary를 클릭해보세요. 

 

 

By |2019-11-27T15:25:54+09:0011월 25th, 2019|Categories: Drawing, Visual Vocabulary|Tags: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