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Vocabulary, 하나의 키워드를 하나의 슬라이드로 만드는 스토리디의 레시피입니다.”

# 현황 

 

 

오늘의 키워드는 ‘현황’입니다. 가입자 현황, 분포 현황, 추진 현황 등… 여러 쓰임새가 있는 단어죠. 

사전에 따르면, 현황은 ‘현재의 상황’의 뜻입니다. 이말이나, 저말이나~ 그말 같지만.

 

현황을 시각화하면?

* 저는 디자이너는 아니에요. 그러니, 안 이쁘다는 점에 실망하는 건 곤란해요. ^^;

 

 

 

 

자, 그럼 한번 만들어볼까요?

먼저, 재료를 확인 해봅시다.

 

<준비해야할 컨텐츠>

01 상황을 보고 싶은 대상

02 상황을 보고 싶은 기준 시점

03 기준 시점에서 대상에 대한 조사 결과
* 조사결과가 바로 상황이죠.

 

예를 들어보죠.
‘2월 1일 기준, A서비스의 가입자 현황’

대상은 A서비스 가입자,
기준 시점은 2월 1일,
조사 결과는 1,750명입니다. 

 

 

 

 

컨텐츠가 준비되었다면,

이제 순서대로 슬라이드에 배치해주세요.

 

먼저, 제목을 슬라이드 상단에,

다음 조사 결과(1,750명)를 본문에 배치,

A서비스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니까, 사람아이콘으로 표현해보죠.

빼먹지 말아야 하는 것은 기준 시점(2월 1일)

 

자, 이렇게 하면 1차 완성이 되었습니다. 짝짝짝!

엥? 뭐, 이러냐구요?

너무 간단해서? 아니면, 너무 허술해서?

그럼, 이렇게 해볼까요?

 

 

‘현황’을 슬라이드로 만드는 이유는

‘조사 결과를 알고 싶다’에 그칠 수도 있지만,

 

대개의 경우 ‘조사 결과’가 ‘좋은것인지, 나쁜 것인지’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2월 1일 기준으로 가입자 목표가 2,000명이었는데, 현황을 조사해보니 1,750명이었다면 이건 나쁜 상황이죠.

 

그러니, 판단을 위해서는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 그림(왼쪽설명)을 참고해주세요.

한걸음 더 나아간다면

좋다, 나쁘다 판단 이후에는

그래서, 무엇을 어쩌자는거야?

그에 대해 알고 싶어집니다.

 

슬라이드를 만드는 사람이 그렇다기 보다는 대개 그 슬라이드를 보게되는 사람들이 궁금해하죠.

뭐, 그쯤은 무시하겠다~? 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 대개의 사람들이 ‘상사’ 이거나 ‘고객’이라면 음- 쉽게 무시하긴 어려울텐데요~

 

그럼, 어떻게?

슬라이드를 보는 사람들에게 ‘현황’과 ‘현황에 관한 정보’로 부족하다면

그들에게 행동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더해보세요. 

일테면, ‘봐봐, 현황이 이렇게 나쁘니까 우린 이걸 해보자.’ 와 같은…
* 역시, 위의 그림(오른쪽설명)을 참고해주세요.

 

 

 

 

자, 정리해볼까요?

 

‘현황’현재의 상황입니다.

 

재료

01 상황을 보고 싶은 대상

02 상황을 보고 싶은 기준 시점

03 기준 시점에서 대상에 대한 조사 결과

를 준비해주세요.

 

그리고, 슬라이드에 배치하기.

 

현황 데이터를 정보로 만들기 위해서는?

판단 기준과 판단 결과를 더하기!

 

행동을 촉구하려면,

메시지를 더하기!

어때요?

할만하죠?

 

 

 

> 본 포스팅과 관련된 다른 글을 더 보려면 아래의 Visual Vocabulary를 클릭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