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Vocabulary, 하나의 키워드를 하나의 슬라이드로 만드는 스토리디의 레시피입니다.”
# 개선
오늘 다뤄볼 단어는 ‘개선’입니다.
앞서 다룬 이슈가 ‘분석을 통한 증명(Prove)’에 해당하는 단어라면,
개선은 ‘설명(Explain)’에 해당하는 단어로 분류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 이 포스트가 좀 더 진행이 되면, 골라든 단어들의 분류체계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소비자 심리 개선, 운영체계 개선, 손익 개선, 경영개선 등,
조금 전 네이버 뉴스에서 ‘개선’으로 검색해서 나온 기사의 제목들입니다.
역시, 익숙하게 자주 쓰는 단어죠.
사전에 따르면,
개선은 ‘잘못된 것이나 부족한 것, 나쁜 것 따위를 고쳐 더 좋게 만듦’ 이라 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개선을 하려면, 개선의 대상이 될 ‘잘못된 것이나 부족한 것’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겠죠?
따라서 슬라이드를 제작하는 관점에서 ‘개선’이란,
‘이전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 더 나아짐’이라고 재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개선’을 시각화하면?
자, 만들어봅시다.
1) Digging the KEYWORD, 재료모으기
개선은 ‘이전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 더 나아짐’으로 재해석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2가지 입니다.
– 이전 상태 (문제가 되는 현재 상태, 과거의 상태)
– 다음 상태 (더 나은 상태, 나중의 상태, 목표 상태)
예를 들어보죠.
‘슬라이드 제작방법 개선’을 만들어볼까요?
Visual Vocabulary를 시작하게 된 계기이자, Visual Vocabulary가 목표로 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 이전 상태 : Copy & Paste
– 다음 상태 : Digging first, Drawing later
입니다.
2) Draw the KEYWORD, 슬라이드로 만들기
재료를 준비했으니, 순서대로 슬라이드에 배치해볼까요?
이전상태에서 다음상태로의 더 나아짐, 에는 방향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이전상태와 다음상태 사이에는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를 그려주는 것이
보다 명쾌한 설명방법이 되겠습니다.
하나 더!
개선의 타당성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려면,
이전상태와 다음상태는 같은 기준으로 비교가 가능해야 합니다.
음, 그런데 여러분이 그동안 봐왔던 ‘개선’ 슬라이드와 조금 차이나죠?
뭔가 조금 허전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지만, 비교 항목이 하나 밖에 없어서,는 허전한 이유가 아닌 것 같습니다만.
3) Digging Again
‘개선’에 관한 슬라이드를 왜 작성하는가를 생각해보죠.
더 나아졌다는 결과를 ‘자랑’스럽게 보여주거나,
더 나은 결과로 나아가기 위해 어떤 행동을 ‘촉구’하거나,
어떤 행동에 대한 ‘지지’를 얻기 위해서입니다.
즉, 두 가지 상황으로 나눠볼 수 있는 것이죠.
개선이 끝난 상황과 개선을 해야 하는 상황.
4) Draw Again,
개선이 끝난 상황인 경우,
슬라이드에는 개선의 효과를 함께 제시할 수 있습니다.
항목을 추가해서 작성하는 방법이 있고.
제목에 효과를 담아 작성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개선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어떨까요?
효과를 보여주는 것보다, 어떻게 해야 더 나은 다음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인지
필요한 행동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런 것도 가능하겠죠?
* 시간적으로 순차적인 개선
* 공간적인 개선
* 단계(수준)적인 개선
그럼, 정리해보겠습니다.
개선
– 정의: 이전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 더 나아짐
– 재료: 01이전 상태, 02다음 상태, (+option 1)개선 효과, (+option 2)개선 방안
– Visualize의 핵심: ‘이전 상태와 다음 상태는 같은 기준으로 비교’, ‘다음 상태는 도달한(혹은 해야할) 목표 수준’
개선은 슬라이드를 만드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은 편입니다.
다만, 개선이라는 것이 ‘배고프니 밥먹자’와 같은 하나마나한 것이거나,
슬라이드에서만 ‘으쌰!’하고 끝나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물론, 이건 슬라이드 제작과는 다른 문제죠.
진짜 더 나은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어떤 행동들이 필요할 것인가… 에 관한 고민입니다.
음- 저는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이 슬라이드 제작방법을 개선하도록 하는데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인가? 잠시 고민이 되네요.
> 본 포스팅과 관련된 다른 글을 더 보려면 아래의 Visual Vocabulary를 클릭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