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HR 인스트티튜드

옮긴이: 양영철
출판사: 거름
목차
1장 도대체 컨셉이 무엇인가
2장 컨셉 매트릭스를 이용한 컨셉 개발 단계

3장 기업의 미션과 비전 컨셉
4장 비즈니스 모델의 컨셉
5장 전략의 컨셉
6장 히트 상품을 만드는 컨셉
7장 광고의 컨셉
내가 하고 있는 일은 기업의 제안서를 작성하는 일이다. 제안서에서 중요한 것은 전략을 어떻게 가지고 가냐에 따라 성패가 좌우된다. 처음 전략의 컨셉을 만들려고 했을 때 전략의 컨셉이 무엇인지? 너무 어려웠다. 이 책에서는 컨셉에 대한 정의와 컨셉을 만드는 도구로 컨셉 트리와 컨셉 매트리스를 소개하며, 각 상황에 맞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어 이해가 쉬웠다. 그럼 제안에 필요한 전략의 컨셉이 어떻게 만들어지는 살펴보겠다.

 

전략의 컨셉 만들기

 

1.  컨셉 트리를 이용한 전략 가설 만들기

  1-1)   환경 분석으로 경영 환경을 정리한다.

            3C(고객*시장, 경쟁사, 자사), 4P(제품, 가격, 유통, 프로모션), SWOT(강점, 약점, 기회, 위협)  
분석을 통해 회사를 둘러싼 개관적으로 이해하고 인식하는 단계
  1-2)  목표 분석과 최적의 실천 방법으로 고객의 이익을 창출한다.
            포지셔닝 맵 분석을 통해 목표 고객을 규명하고 고객의 이익을 창출한다.
  1-3)   옵션(선택해야 하는 것) 평가로 전략의 컨셉을 다듬는다.
             3가지 정도의 옵션을 설정하고 평가를 한다.

 

2.  컨셉 매트릭스를 이용한 전략을 수립하기

  2-1)   요소 정리

            3C(고객*시장, 경쟁사, 자사), 4P(제품, 가격, 유통, 프로모션), SWOT(강점, 약점, 기회, 위협)  
분석을 통해 문제의식과 목적의식을 도출한다.
  2-2)   고객 관점
            ‘누가,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를 묘사하는 고객 상황과 무엇이어떻게 왜 일어났는가하는 고객이익의 관점이 있으며 현지, 현물, 현장을 중시하면서 전개한다.
  2-3)   본질의 숙성
            요소 정리와 고객 관점 단계에서 다듬은 항목을 재검토하고 각각의 관련성을 확산, 전환, 충돌(풍부화) 시켜 옵션을 도출한다.  이때 옵션은 짧은 문장으로 표현해본다.
  2-4)   핵심 메시지
            본질의 숙성에서 제시된 옵션 중에 가장 적합한 하나를 선택해서 기본 전략 타이틀로 정리하 것 핵심 메시지로 도출한 전략을 컨셉을 차별적 우위성(차별성, 우위성)과 본질의 숙성도(본질 압축도, 설득력)의 두 가지 관점으로 재 평가해보라.

 

 

 

 

다음 제안서를 쓸 때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제안서 작성해야 되겠다는 것을 배웠다.

  •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바로 인식을 한다.
  • 고객의 장·단점을 분석한다.
  • 마지막으로 핵심 메시지를 도출한다.

컨셉은 개념이 아니라 응축된 본질이라는 말이 인상에 남았다.
이 책은 컨셉을 만드는데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추천한다.

 

 

 

 

> 본 포스팅과 관련된 다른 글을 더 보려면 아래의 컨설턴트의 책을 클릭해보세요.